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는 기독교 전통에서 중요한 직위로, 42년 마르코 복음사가에 의해 세워졌다고 전해진다.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는 초기 기독교가 이집트 전역으로 퍼져나가는 중심지였으며, 한때 로마 주교 다음으로 서열이 높았다. 449년 에페소스 제2차 공의회와 451년 칼케돈 공의회를 거치면서, 알렉산드리아는 비-칼케돈파인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와 칼케돈파인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로 분열되었다. 현재 각 교파별로 총대주교가 존재하며, "교황"이라는 칭호는 알렉산드리아 주교에게 처음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는 412년부터 444년까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를 지낸 기독교 신학자이자 교부로, 네스토리우스와의 논쟁에서 테오토코스 칭호를 옹호하며 에페소스 공의회를 주도했으나 이교도와 유대인 탄압, 히파티아 피살 사건 연루 의혹 등 논란이 있었다.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테오도로스 2세
그리스 크레타 섬 출신인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테오도로스 2세(1954년~)는 2004년부터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를 맡아 아프리카 지역의 선교, 교육, 의료 지원에 힘쓰고 있으며, 2019년 우크라이나 정교회 자동 수장권 인정으로 러시아 정교회와 관계 변화를 겪었다. - 아프리카의 기독교 - 멤피스 (이집트)
멤피스는 나일강 서안에 위치한 고대 이집트의 도시로, 이집트 초기 왕조 시대부터 고왕국 시대까지 수도였으며 프타 신 숭배의 중심지였고, 1979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아프리카의 기독교 - 아프리카 토착교회
아프리카 토착교회는 제국주의 시대 아프리카인들이 토착 신앙과 기독교를 결합하여 설립하고 주도하는 다양한 기독교 교파를 지칭하며, 정치적, 선교적, 문화적 이유로 기존 교회에서 분리되어 아프리카 전역에 널리 퍼져 독자적인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 이집트의 기독교 - 동방교회성
동방교회성은 과거 교황 겸임 장관 시대 차관 추기경을 두었으나, 1967년부터 장관 추기경을 임명하여 운영하며, 이 문서는 1917년부터 현재까지의 역대 차관 및 장관 추기경 목록과 정보를 제공한다. - 이집트의 기독교 -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는 451년 칼케돈 공의회 이후 분열되어 아프리카에서 성장했으며, 현재 테오도로스 2세가 총대주교를 맡고 있고, 여성 부제 제도를 복원했다.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
---|---|
일반 정보 | |
관할 | 총대주교 |
관할 교회 | 콥트 정교회 콥트 가톨릭교회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교회 그리스 정교회 |
의례 | 콥트 의례 비잔틴 의례 |
첫 번째 재임자 | 성 마르코 |
설립 | 42년 (창립), 381년 (총대주교 칭호 부여) |
위치 | 알렉산드리아, 이집트 |
설명 | |
설명 | 알렉산드리아의 대주교이며, "교황" 칭호를 포함함. |
2. 역사
교회 전승에 따르면,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는 42년에 마르코 복음사가에 의해 세워졌다고 한다. 이곳은 기독교가 이집트 전역으로 퍼져나간 중심지였다. 처음에는 성 마르코의 후계자가 유일한 대주교였으나, 기독교인이 늘어나면서 수석 대주교로 불리게 되었다. 총대주교라는 명칭은 5세기에 들어서야 사용되기 시작했다.[5]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381년)까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는 로마 주교 다음으로 서열이 높았다. 그러나 이후 칼케돈 공의회(451년)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보다 선행할 권리를 얻게 되었다. 로마와 알렉산드리아는 이 주장을 수년 동안 인정하지 않았다.[5]
에페소스 제2차 공의회(449년)와 칼케돈 공의회(451년)를 거치면서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와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로 분열되었다.
동서 교회 분열 이후 로마 가톨릭교회 산하에도 알렉산드리아 대주교좌와 콥트 전례 가톨릭 교회의 대주교좌가 존재한다.
총대주교좌는 오랫동안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 있었으나, 현재는 카이로에 있다. 그리스 정교회와 콥트 정교회의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는 모두 파파(πάπαςel)라는 칭호를 가지고 있으며, "알렉산드리아 및 전 아프리카의 파파 겸 총대주교"로 불린다.
2. 1. 초기 역사와 분열
콥트 교회는 칼케돈 공의회 이후에 생긴 단성론파 교회이다(다만, 콥트 교회측은 자신들이 단성론파로 불리는 것을 싫어한다.). 이들은 모두 초기 기독교의 5대 총대주교좌 가운데 하나였던 알렉산드리아 교회를 계승한다고 자명하고 있다. 콥트 정교회는 현재 총대주교좌를 카이로에 두고 있으며 정교회는 현재까지도 알렉산드리아에 총대주교좌를 두고 있다.교회 전승에 따르면, 이 총대주교는 42년에 마르코 복음사가에 의해 세워졌다. 이곳은 기독교가 이집트 전역으로 퍼져나간 중심지였다. 번성기에는 약 108명의 주교가 관할했으며, 그 관할 구역은 리비아 수페리오르, 리비아 인페리오르, 테바이드, 이집트, 헵타노미스, 그리고 아우구스타므니카 등 6개의 지역을 포함했다. 처음에는 성 마르코의 후계자가 유일한 대주교였으며, 그는 이 모든 지역을 교회적으로 통치했다. 기독교인이 늘어나고 다른 대주교 관구가 생겨나면서 그는 수석 대주교로 알려지게 되었다. 총대주교라는 명칭은 5세기에 들어서야 사용되기 시작했다.[5]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381년)까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는 로마 주교 다음으로 서열이 높았다. 이 공의회의 세 번째 규칙에 따라, 이후 칼케돈 공의회 (451년)의 28번째 규칙으로 확정되면서, 황제의 권위와 다양한 유리한 조건의 지원을 받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는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보다 선행할 권리를 얻었다. 그러나 로마와 알렉산드리아는 수년 동안 이 주장을 인정하지 않았다. 우리 시대의 처음 두 세기 동안 이집트는 유난히 조용했지만, 교회사학자 에우세비우스를 통해 전해진 총대주교들의 이름 목록 외에는 이 주요 관구의 교회사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5]
모든 교파는 449년의 에페소스 제2차 공의회와 451년의 칼케돈 공의회까지의 교회 지도자들의 계승을 인정하며, 이 두 공의회는 비-칼케돈파인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와 칼케돈파인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를 낳았다.
3. 각 교파별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알렉산드리아에는 여러 교파의 총대주교가 존재한다. 각 교파는 42년 마르코 복음사가에 의해 설립된 고대 5대 총대주교좌 중 하나인 알렉산드리아 교회의 계승권을 주장한다.
로마 가톨릭교회 소속의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직은 1964년에 폐지되었다.
모든 교파는 449년 에페소스 제2차 공의회와 451년 칼케돈 공의회까지의 교회 지도자들의 계승을 인정한다. 이 두 공의회는 비칼케돈파인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와 칼케돈파인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로 나뉘는 분기점이 되었다.

3. 1. 동방 정교회 (그리스 정교회)
정교회 소속의 알렉산드리아와 전 아프리카 교회의 총대주교는 대부분 그리스인이 맡고 있다. 이들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구와 긴밀한 관계에 있으며, 아프리카 각지와 마다가스카르에 활발한 선교활동을 하고 있으며, 일정한 성과도 올리고 있다.[5] 현 총대주교는 테오도로스 2세 총대주교이다.이 총대주교직의 정식 칭호는 다음과 같다.[14]
- 위대한 도시 알렉산드리아와 리비아, 펜타폴리스와 에티오피아, 그리고 전 아프리카의 교황이자 총대주교.
- 신부중의 신부
- 목자중의 목자
- 주교(대사제)중의 주교(대사제)
- 13번째 사도
- 만천하의 심판관
교회 전승에 따르면, 이 총대주교는 42년에 마르코 복음사가에 의해 세워졌다. 이곳은 기독교가 이집트 전역으로 퍼져나간 중심지였다. 번성기에는 약 108명의 주교가 관할했으며, 그 관할 구역은 리비아 수페리오르, 리비아 인페리오르, 테바이드, 이집트, 헵타노미스, 그리고 아우구스타므니카 등 6개의 지역을 포함했다. 처음에는 성 마르코의 후계자가 유일한 대주교였으며, 그는 이 모든 지역을 교회적으로 통치했다. 기독교인이 늘어나고 다른 대주교 관구가 생겨나면서 그는 수석 대주교로 알려지게 되었다. 총대주교라는 명칭은 5세기에 들어서야 사용되기 시작했다.[5]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381년)까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는 로마 주교 다음으로 서열이 높았다. 이 공의회의 세 번째 규칙에 따라, 이후 칼케돈 공의회 (451년)의 28번째 규칙으로 확정되면서, 황제의 권위와 다양한 유리한 조건의 지원을 받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는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보다 선행할 권리를 얻었다. 그러나 로마와 알렉산드리아는 수년 동안 이 주장을 인정하지 않았다. 우리 시대의 처음 두 세기 동안 이집트는 유난히 조용했지만, 교회사학자 에우세비우스를 통해 전해진 총대주교들의 이름 목록 외에는 이 주요 관구의 교회사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5]
모든 교파는 449년의 에페소스 제2차 공의회와 451년의 칼케돈 공의회까지의 교회 지도자들의 계승을 인정하며, 이 두 공의회는 비-칼케돈파인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와 칼케돈파인 알렉산드리아 그리스 정교회를 낳았다.
3. 2. 콥트 정교회
콥트 교회 소속의 성 사도 복음사가 마르코 좌의 알렉산드리아와 전 아프리카의 총대주교는 카이로에 총대주교좌를 두고 있다. 현재 총대주교는 셰누다 3세이다.교회 전승에 따르면, 이 총대주교는 42년에 마르코 복음사가에 의해 세워졌으며, 이집트 전역으로 기독교가 퍼져나간 중심지였다.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381년)까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는 로마 주교 다음으로 서열이 높았다.
알렉산드리아 교황이자 성 마르코 사도의 성좌가 있는 모든 아프리카의 총대주교는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를 이끌지만, 11세기 중반에 거처를 옮긴 이후 카이로에 거주하고 있다.
고대 5대 총대주교좌 중 하나인 알렉산드리아 교회의 흐름을 잇는다.
콥트 정교회는 칼케돈 공의회에서 분리된 비칼케돈파(단성론파라고도 불리지만, 콥트 정교회는 단성론파로 불리는 것을 거부한다) 교회이다. 현재 콥트 정교회 교황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는 2012년 셰누다 3세의 사망에 따라 같은 해에 선출된 제118대 교황 타와드로스 2세이다.
3. 3. 동방 가톨릭 교회
콥트 가톨릭 교회 소속의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의 현재 총대주교는 안토니오스 1세이다. 로마 가톨릭교회 소속의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는 4개의 라틴 총대주교 중 하나였으나 1964년에 폐지되었다. 마지막 총대주교는 루카 파세토였으며 1950년부터 1954년까지 재위하였다. 산 파올로 푸오리 레 무라 대성전에 총대주교좌가 있었다.[5]콥트 가톨릭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는 성좌와 일치하는 콥트 가톨릭 교회를 이끈다. 멜키트 그리스-멜키트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는 성좌와 일치하는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 교회를 이끌며, 그리스-멜키트 알렉산드리아 명의 총대주교와 그리스-멜키트 예루살렘 명의 총대주교 칭호도 가지고 있다.
동서 교회 분열 이후 로마 가톨릭교회 산하에는 알렉산드리아 대주교좌와 콥트 전례 가톨릭 교회의 대주교좌가 존재한다.
3. 4. 로마 가톨릭 교회 (라틴 전례)
로마 가톨릭교회 소속 알렉산드리아 라틴 총대주교는 4개의 라틴 총대주교 중 하나였으나 1964년에 폐지되었다.[5] 마지막 총대주교는 루카 파세토 총대주교였으며 1950년부터 1954년까지 재위하였다.[5] 총대주교좌는 산 파올로 푸오리 레 무라 대성전에 있었다.알렉산드리아 라틴 총대주교는 명목상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좌의 수장이었으며, 이는 교황 인노첸시오 3세에 의해 설립된 가톨릭 교회의 직위였다. 이 직함은 루카 에르메네질도 파세토가 1954년 사망할 때까지 보유했으며, 1964년 라틴 교회 관구로 폐지될 때까지 공석으로 남아 있었다.
4. '교황'(Pope) 칭호
이 직함은 역사적으로 교황—Πάπας (''Papas''), 그리스어와 콥트어로 "아버지"를 의미한다—라는 칭호를 가지고 있었는데, 알렉산드리아의 헤라클라스가 13대 알렉산드리아 주교(227–248)로서 처음으로 "교황"이라는 칭호를 알렉산드리아 주교의 직함과 연관시켰다.
"교황"이라는 단어는 그리스어 ''πάππας'' "아버지"에서 유래되었다. 초기 기독교 시대에는 이 칭호가 모든 주교와 기타 고위 성직자에게 비공식적으로 (특히 동방에서) 적용되었다. 서방에서는 6세기부터 로마 주교에게 특히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일반 주교가 아닌), 1075년 교황 그레고리오 7세는 이전에 확립된 관례를 명시하는 것으로 널리 해석되는 선언을 발표했다.[6][7][8][9][10] 6세기까지는 콘스탄티노플의 제국 관청에서도 이러한 관행이 일반적이었다.[6]
이 칭호에 대한 가장 초기의 기록은 알렉산드리아의 헤라클라스 (227–240)에 관한 것으로, 그의 후임자 알렉산드리아의 디오니시오가 로마 사제 필레몬에게 보낸 편지에 "τοῦτον ἐγὼ τὸν κανόνα καὶ τὸν τύπον παρὰ τοῦ μακαρίου πάπα ἡμῶν Ἡρακλᾶ παρέλαβον."라고 쓰여 있다.[11] 이는 "나는 이 규칙과 조례를 우리의 복된 아버지/교황 헤라클라스에게서 받았다"로 번역된다.[12]
그리스 정교회의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와 콥트 정교회의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는 모두 파파(그리스어: πάπαςel, 영어: Pope)라는 칭호를 가지고 있으며, 그 칭호는 '''알렉산드리아 및 전 아프리카의 파파 겸 총대주교'''이다. "파파"는 "교황"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5. 한국과의 관계
Ἀλεξανδρινὴ Ἑλληνορθόδοξη Ἐκκλησίαgrc는 1968년 우간다의 정교회가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에 합류하면서 아프리카 대륙 전체와 그 주변 섬들을 관할하게 되었다.
현재 한국 정교회는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청에 속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Pope
https://st-takla.org[...]
2018-10-25
[2]
웹사이트
Patriarch and Patriarchate
[3]
웹사이트
Pentarchy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2015-01-26
[4]
웹사이트
CIA World Fact Book
https://www.cia.gov/[...]
CIA.GOV
2022-03-30
[5]
웹사이트
The Church of Alexandria
[6]
서적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A Brief History of the Western World
Cengage Learning
[8]
서적
The Eucharistic Prayers of the Roman Rite
Liturgical Press
[9]
서적
A History of the Popes
Government Institutes
[10]
서적
Papal Primacy
Liturgical Press
[11]
문서
Historia Ecclesiastica Book VII, chapter 7.7
[12]
서적
The Sacred Writings of Eusebius Pamphilus
https://books.google[...]
Jazzybee Verlag
[13]
문서
pope, n.1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9
[14]
웹사이트
The Patriarchate of Alexandria and all Africa
http://www.patriarch[...]
2012-1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